열여섯번째 날: Test::Mojo와 함께하는 보다 쉽고 편한 Web Application 테스트

저자

@JEEN_LEE - 좋은 아빠 워너비, github:jeen

시작하며

업계에 들어오고, 엉망진창인 테스트 코드를 쓰면서도 계속되는 고민은 어떻게 하면 테스트 코드를 잘 쓸 수 있을까?였습니다. 그렇다면 잘 쓴 테스트 코드는 과연 어떤 것일까요? 물론 제가 그것을 알고 있다면 이런 기사를 쓰고 있지는 않겠죠. 좋은 테스트 도구를 만나면 이전과는 다른 보다 좋은 테스트를 쓸 수 있지 않을까와 같은 나름의 결론을 내려보았습니다. 바로 Test::Mojo를 사용하면서 말이죠. 따라서 이 기사에서 다룰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은 Mojolicious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예전의 테스트 코드

그렇다면 보다 좋게 쓰기 이전의 테스트 코드는 어땠을까요?

컨트롤러/모델 하나 하나의 컴파일 테스트

컨트롤러 하나하나 마다 .t 파일을 만들어서 정상적으로 컴파일되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확인했었습니다.


# t/100-controller-user.t
use strict;
use warnings;
use Test::More;

use Catalyst::Test 'MyApp::Web';
use_ok "MyApp::Web::Controller::User";

done_testing();

컨트롤러의 기능별 추가

그리고 각 컨트롤러의 기능(API endpoint) 별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분석해서 이런 값이 있어야 되겠지하면서 한 줄, 한 줄 적어갔었습니다.

# t/101-controller-user-get.t
use strict;
use warnings;
use Test::More;
use HTTP::Request::Common;

use Catalyst::Test 'MyApp::Web';
use JSON::XS;

my $res = request(
    GET "/user/1",
    "X-MyApp-Token" => "f9a077fae03cf63bc4b351344531bde91f0f26c9",
);

my $data = JSON::XS::decode_json($res->content);
ok($data->{user}, "Got User Data");
ok(defined $data->{user}->{rate}, "Got User-Rate");
ok(defined $data->{user}->{photo}, "Got-User-Photo");
ok(defined $data->{user}->{count}, "Got-User-Counts");
ok(defined $data->{isFriend}, "ok");
ok(defined $data->{user}->{count}, "Ok");
ok(defined $data->{me}, "OK");
done_testing();

모듈/어플리케이션의 의존성관리

가끔 테스트를 돌리려면 Can't locate XXX/XXX.pm .... 와 같은 아주 친숙한 오류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것은 바로 의존성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위해 Makefile.PL에 일일이 의존 모듈을 추가하고 cpanm --installdeps . 명령을 사용해 의존 모듈을 매번 설치해야 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바뀌었나?

lib 디렉토리 아래 모듈 파일의 전체 컴파일 테스트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모든 이름 공간의 모듈을 한번에 테스트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 하나 하나, 모델 하나 하나에 들였던 불필요한 시간이 사라집니다. 동시에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하던 동적 클래스 적재로 호출되던 많은 모듈도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t/000-compile.t
use utf8;
use Test::Ika;
use Test::More;
use Path::Class::Rule;

BEGIN { binmode STDOUT, ":utf8" };

describe "Compile" => sub {
    it "모든 패키지는 정상적으로 로딩되어야 한다" => sub {
        my $rule = Path::Class::Rule->new;
        $rule->file->name( qr/\.pm$/ );  # .pm 파일만 추출
        $rule->file->size('>10');        # 이름 공간 선정을 위해 가끔 개발 도중에
                                         # 0 byte 모듈 파일을 형식상 만들어두던 습관 때문에...
        my $iter = $rule->iter('lib');   # lib 디렉토리 하위의 모든 파일들에 대해
        while ( my $file = $iter->() ) {
            my $pkg = $file;
            $pkg =~ s!^lib/!!;
            $pkg =~ s!\.pm$!!;
            $pkg =~ s!/!::!g;
            use_ok $pkg;
        }
    };
};

각 테스트 단위의 서술

Ruby RSpec의 표현식을 빌려 사용할 수 있는 Test::Ika 모듈을 통해서 앞에서 살펴본 테스트 예제 코드처럼 정의할 수 있습니다. Test::Ika 모듈을 통해 기존 단순 명료했던 TAP의 출력 결과와는 달리 각 테스트 코드에서 서술된 표현들을 깔끔하게 표시해줍니다.

Test::Ika 모듈의 테스트 결과 출력 그림 1. Test::Ika 모듈의 테스트 결과 출력 (원본)

예전의 테스트 코드에서는 Test::More 모듈subtest를 사용해서 이런 식의 서술을 했었지요. 이처럼 테스트 단위의 서술을 기재함으로써 테스트 코드를 통해 문서화를 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테스트 코드에서 얻을 수 있는 부분과는 다른 문서를 별도로 쓰고 있긴 하지만, 나름 잘 구분해서 사용하면 효과적이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Test::Mojo

Mojo::UserAgent는 HTTP 클라이언트 중 정말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웹 API 서버가 주로 다루는 응답 결과인 JSON의 각 항목을 테스트하는데는 정말 이만한 모듈이 없습니다. 물론 여기에서 사용하는 Test::Mojo 자체가 Mojo::UserAgent를 래핑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죠.

use Mojo::Base -strict;
use Test::Ika;
use Test::Mojo;

BEGIN { binmode STDOUT, ":utf8" };

my $t = Test::Mojo->new('MyApp::Web');

describe "Noop" => sub {

    it "서버간의 연결확인 등의 목적으로 하는 무작업 응답이 필요함" => sub {
        $t
            ->get_ok('/noop')
            ->status_is(200)
            ->json_has('/noop')
            ;
    };

    it "인증토큰을 가지지 않은 채로 무작업 응답 요청시에 400을 표시해야 함" => sub {
        $t
            ->get_ok('/noop/auth')
            ->status_is(400)
            ->json_has('/message')
            ;
    };

    it "인증토큰을 가지고 있을 때는 무작업 응답 요청에 답해야 함" => sub {
        $t->ua->on( start => sub {
            my ($ua, $tx) = @_;
            $tx->req->headers->header('X-MyApp-Token', 'xxxxxxxxxxxx');
        });

        $t
            ->get_ok('/noop/auth')
            ->status_is(200)
            ->json_has('/noop')
            ->json_has('/result/ok')
            ->json_has('/devices/0/id')
            ;
    };
};

앞의 테스트 코드처럼 HTTP 응답이 JSON일 경우 json_has() 메소드를 통해 반환되는 JSON 자료를 Perl 자료 형태로 변환해서 /devices/0/id(devices 배열 항목의 첫번 째 요소의 id 키값)가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데이터 접근방식을 JSON 포인터(RFC 6901)라고 부릅니다.

예제에서 볼 수 있듯이 Test::Mojo 객체는 메소드 연쇄(method chaining)로 동작하므로 나름 깔끔하게(또는 보통의 펄 코드같지 않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프로젝트/모듈의 의존성 관리

Cartoncpanfile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앞에서 살펴본 t/000-compile.t 테스트 코드에서 모든 모듈의 컴파일 테스트 시 반드시 의존 모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 그때 큰 죄의식없이 cpanfile 에 필요한 의존 모듈을 추가하면 됩니다.

테스트를 수행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carton install
$ carton exec prove t

테스트 자동화

배포되는 모듈/어플리케이션의 모든 테스트는 Jenkins 상에서 커밋 단위일 단위로 이뤄집니다. 관련한 이야기는 Korean Perl Workshop 2012발표 자료를 참고하세요.

정리하며

A를 고쳤는데 B가 안된다라는 식은 땀이 나는 상황은 언제 어디서고 일어나기 마련입니다. 물론 이런 저런 테스트 코드를 쓰는 기법과 좋은 방법론이 세상에는 많지만 저처럼 배움이 느린 사람에게 있어서는 어려운 이야기인지라 좀 더 좋은 방법에 대해서 갈망하는 자세를 잊어서는 안되리라 생각합니다.

Machine should work, People should think

어디에선가 주워들은 글귀입니다만, 누가(기계가), 언제(커밋/특정시간), 어디서(개발서버), 무엇을(이런 저런 항목들을), 어떻게(요래조래), 왜(마음의 평화를 위해)... 두 번 이상 반복될 것들은 기계에게 맡기며 다른 일에 눈을 돌리는 조바심내는 개발자가 되기를 바랍니다(제가).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